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스마트 에디터를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네이버 스마트 에디터는 자바스크립트로 구현된 웹 기반의 WYSIWYG 에디터입니다. 현재 스마트 에디터는 3.0 버전까지 나와있지만 3.0은 대외 공개하고 있지 않다고 합니다.
그래서 저는 스마트 에디터 2를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스마트 에디터 다운로드
https://github.com/naver/smarteditor2
naver/smarteditor2
Javascript WYSIWYG HTML editor. Contribute to naver/smarteditor2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공개된 스마트 에디터 깃허브 주소입니다.
가셔서 다운로드 받으신 후 workspace 안에 있는 것들을 본인이 만들고 있는 웹 프로젝트에 추가합니다.
여기까지 하셨다면 네이버 스마트 에디터를 붙일 페이지의 상단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합니다.
<!-- 페이지 상단 또는 하단에 라이브러르 추가 --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 src="/plugin/smarteditor2/js/service/HuskyEZCreator.js" charset="utf-8"></script>
...
<!-- 표시할 textarea 영역 -->
<textarea id="txtContent" rows="10" cols="100" style="width: 100%;"></textarea>
...
<!-- 페이지 로딩시 초기화 -->
<script>
$(() => {
nhn.husky.EZCreator.createInIFrame({
oAppRef: editor,
elPlaceHolder: 'txtContent',
sSkinURI: '/plugin/smarteditor2/SmartEditor2Skin.html',
fCreator: 'createSEditor2'
});
});
</script>
이 때 src는 본인의 프로젝트 경로에 맞춰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.
위의 그림처럼 나오셨다면 성공입니다. 그런데 네이버 스마트 에디터 상단에 Version: 2.9.1.5caeebb 가 보이십니까?
저 부분도 안보이게 처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네이버 스마트 에디터 소스가 있는 root 폴더에 보시면 SmartEditor2Skin.html 이라는 파일이 있습니다. 해당 파일을 open하신 다음 화면에 보이는 Version: 2.9.1.5caeebb로 검색을 하시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나옵니다.
<span id="rev">Version: 2.9.1.5caeebb </span>
이 부분을 삭제하고 네이버 스마트 에디터가 적용된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시면 해당 부분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'Programming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clipse + Gradle 환경 구축하기 (1) | 2019.10.11 |
---|---|
Let'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 발급 방법 (0) | 2019.05.20 |
git 연동 (0) | 2019.03.22 |
티스토리 블로그 소스코드 하이라이트 Color Scripter 적용 (highlight.js 대체) (0) | 2018.11.13 |
[프로그래머스 문제 풀이] 코딩테스트 연습 > 연습문제 > 같은 숫자는 싫어 (0) | 2018.10.29 |